전기기기
전압변동률과 단위법
오손도손
2011. 11. 28. 16:10
(1) 전압 변동률
아래의 외부 특성 곡선은 이 관계를 표시한다.
전압 변동률은 무부하시 단자전압(상전암, 유기기전력)과 부하가 걸렸을때 정격 단자 전압의 변화율을 나타낸 것으로 부하 전류의 대소에 따라서 달라질 뿐만 아니라 같은 부하 전류에 대해서도 역률이 상이하면 그값이 달라진다.
아래의 외부 특성 곡선은 이 관계를 표시한다.
① 유도성(L, 지상)부하의 경우 지상전류에 대한 전기자 반작용의 감자 작용에 의하여 부하가 걸리면 전압이 강하한다. 즉 V0 >V가 되어 전압 변동률은 (+)값을 갖는다.
② 용량성(C, 진상)부하의 경우 진상전류에 대한 전기자 반작용의 증자 작용에 의하여 부하가 걸리면 전압이 상승한다. 즉 V0 < V가 되어 전압 변동률은 (-)값을 갖는다.
② 용량성(C, 진상)부하의 경우 진상전류에 대한 전기자 반작용의 증자 작용에 의하여 부하가 걸리면 전압이 상승한다. 즉 V0 < V가 되어 전압 변동률은 (-)값을 갖는다.
(2) 단위법 [p.u법]
동기기의 경우 사용되는 대부분 대용량이므로 수치가 매우 커서 이를 비례식의 개념으로 단자 전압 V를 1로 놓고 계산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를 단위법이라한다.
∴ 무부하 전압 (유기기전력)
을 하지 않은 리액턴스 강하
1) 전압 변동률
2) 최대출력
∴ 무부하 전압 (유기기전력)
여기서
1) 전압 변동률
2) 최대출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