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기발전기의 분류
1) 회전자에 의한 분류
① 회전계자형
전기자를 고정자로 하고 계자극을 회전자로 한 것으로 회전계자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전기자가 고정자 이므로 절연이 쉬워 대용량으로 설비 할 수 있고, 기계가 튼튼 해진다.
-계자권선의 전원이 직규 전압으로 별도의 여자장치가 필요하고, 직류이므로 소요전력이 작다.
-전기자 권선은 고압으로 결선이 복잡하다.
-고장시 과도 안정도를 높이기 위하여 회전자의 관성을 크게 하기 쉽다.
② 회전 전기자형
-계자극을 고정자로 한 것으로 특수 용도 및 극히 소용량에 적용되며, 직류기도 회전 전기자형에 해당된다
③ 유도자형
-계자극을 전기자를 함께 고정시키고 그 중앙에 유도자라고 하는 권선이 없는 회저자를 갖춘것을로 수백~수만[Hz] 정도의 고주파 발전기로 사용된 것으로 유도 전동기도 유도자형과 같은 구조이다.
2) 원동기에 의한 분류
-수차에 의해 회전 하는 수타 발전기와 증기 터빈 또는 가스 처빈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 발전기로 주로 구분이 되면, 내연 기관에 의해 운전되는 엔진 발전기도 있다.
① 수차발전기 : 많은 양의 물의 자유낙하에 대한 힘을 이용한거스로 수압에 견디기 위해 축이 굵고 짧으면 계자극이 축에서 돌출되어 있어 돌극기 혹은 재료가 동의 양보다다 철의 양이 많아 철극기(철기계)라 한다.
② 터빈 발전기 : 증기 또는 터빈의 힘으로 고속으로 회전하는 발전기로 회전력을 높이기 위해 축이 가늘고 길며 계자극이 축에 매입되어 있어 비 돌극기 혹은 원통형이라 하고 철의 양보다 동의 양이 많아 동기계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