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단상유도전압조정기
① 원리
E2I2×10^3[kVA]
① 원리
회전자의 권선을 1차권선(분로 권선)으로 고정자의 권선을 2차 권선(직렬 권선)으로 하여 단권 변압기 처럼 1차 권선과 2차권선을 공유하여 회전자를 이동하며 전압을 조정하는 기기이다. 이때 원리를 교번 자게의 원리라고도 한다.
분로 권선과 직렬권선의 축이 이루는 각 θ가 0일때 분로권선이 만드는 교번자속 Φ 는 누설자속을 무시하면 모두가 직렬권선과 쇄교하기 대문에 직렬권선의 유도전압은 가장 크며 그값을 조정전압 E2[V]라고 하면 출력측 전압은 다음과 같다. θ가 0부터π까지 변화하면 V2는 V1+E2~V1-E2의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분로 권선과 직렬권선의 축이 이루는 각 θ가 0일때 분로권선이 만드는 교번자속 Φ 는 누설자속을 무시하면 모두가 직렬권선과 쇄교하기 대문에 직렬권선의 유도전압은 가장 크며 그값을 조정전압 E2[V]라고 하면 출력측 전압은 다음과 같다. θ가 0부터π까지 변화하면 V2는 V1+E2~V1-E2의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V2=V1+E2 cosθ
② 단락권선 : 분로 권선과 직각으로 설치하며 직렬권선의 누설 리액턴스를 감소기켜 전압강하를 감소 시킨다.
③ 정격출력 : P=
∴ 조정용량/부하용량 = (E-E1)/E = (Vh - Vl)/Vh
④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사이에 위상차가 없다.
⑤ 1차전압과 2차전압간의 위상이 같도록 설계된 유도 전압 조정기 : 대각 유도 전압 조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