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기가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있어 용량이 부좃한 경우 추가로 발전기를 병렬로 증설 함으로써 보충할수 있다. 부하에서 사용하는 것은 전류이므로 직렬연결이 아니라 병렬연결을 해야지만 증설의 의미가 있다.
1)병렬운전의 목적
1)병렬운전의 목적
①수용가의 전력증가시 병렬운전으로서 보충가능
②직접설비한 수용가의 예비 설비용량보다 적은 설비 용량=> 경제적
③부하변동이 심한경우 경제적이며 점검 보수 측면에서 유리하다.
②직접설비한 수용가의 예비 설비용량보다 적은 설비 용량=> 경제적
③부하변동이 심한경우 경제적이며 점검 보수 측면에서 유리하다.
2)병렬 운전 조건
①극성및단자전압이 같을것
②외부특성이 수하특성일것 =>수하특성 기기 : 타여자, 분권, 차동복권
ⓐ수하특성을 갖지못하는 직권이나 복권발전기의 경우 병렬운전을 할수 없으며 병렬운전을 하여야 할경우 안전운전을 위해서 균압선을 설치 해야한다,
②외부특성이 수하특성일것 =>수하특성 기기 : 타여자, 분권, 차동복권
ⓐ수하특성을 갖지못하는 직권이나 복권발전기의 경우 병렬운전을 할수 없으며 병렬운전을 하여야 할경우 안전운전을 위해서 균압선을 설치 해야한다,
이외에도 용량이 같으면 각 발전기의 외부특성곡선이 같을 것, 용량이 다른경우[%] 부하 전류로 나타낸 외부 특성곡선이 거의 일치 하여야한다.
3)부하분담
병렬운전시 각 발전기에서 부하에 공급하는 용량 관계를 부하분담이라 하며 병렬연결과 두 발전기의 단자 전압이 같아야 한다는 조건을 통해 다음 식을 유도 할 수 있다.
식1 :
식2 :
여기서 : 각 발전기에서 흐르는 분담전류[A]
: 각 발전기의 유기기전력[V]
: 각 발전기의 내부 저항[Ω]
부하 분담 관계
A발전기 : 계자전류 증가 => 자속 증가 => 유기기전력E 증가 => 부하분담 증가
식2 :
여기서 : 각 발전기에서 흐르는 분담전류[A]
: 각 발전기의 유기기전력[V]
: 각 발전기의 내부 저항[Ω]
부하 분담 관계
A발전기 : 계자전류 증가 => 자속 증가 => 유기기전력E 증가 => 부하분담 증가
B발전기 : 계자전류 감소 => 자속 감소 => 유기기전력E 감소 => 부하분담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