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정자
    자속이 통과하는 자기회로로 규소 같한을 수십겹을 성층해서 3상코일을 감은 것
    고정자 내무에 회전자가 위치하게 된다.
 
2) 회전자 
    고정자 안에서 회전하는 요소를 말하며 회전자의 형태에 따라서 농형 회전자와 권선형 회전자로 구분할 수있다.
        ① 유도전동기의 회전하는 부분
        ② 일반적으로 2차권선을 회전자에 있게 된다.
        ③ 시동중의 이상현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스큐슬롯을 채택한다.

     (1)농형 회전자
         
               ① 구조가 간단하며 튼튼하다.
               ② 기동토크가 작아 소형에 사용한다.
               ③ 속도 조정이 곤란하다.
               ④ 효율이 좋다. 
      
     (2) 권선형 회전자
          권선형 회전자는 회전자에 2차 저항을 삽입한 형태이다.


                                 ① 농형에 비해 구조가 복잡하다.
                                 ② 대형 유도 전동기에 적합하다.
                                 ③ 기동토크가 크다.
                                 ④ 2차 저항을 통해 비례추이를 할 수 있는 구조로 기동 및 속도제어가 용이하다.

'전기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상유도전압조정기  (0) 2011.11.22
유도전압조정기  (0) 2011.11.21
단상 유도전동기  (0) 2011.11.21
유도전동기의 기동법과 제동법  (0) 2011.11.13
토크 특성곡선  (0) 2011.11.13
유도기의 등가회로  (0) 2011.11.13
유도기 시험법  (0) 2011.11.13
유도 전동기의 등가회로  (2) 2011.11.13
유도전동기 기초이론  (0) 2011.11.13
유도기전동기의 원리  (0) 2011.11.13
AND